1. 골다공증
- 골다공증은 뼈의 밀도와 질이 감소하여 뼈가 약해지고 부러지기 쉬운 상태가 되는 질환.
- 주요원인: 폐경 후 여성과 고령자에게 흔하게 나타나며, 에스트로겐 호르몬 감소.
- 위험요인: 칼슘과 비타민 D 섭취 부족, 신체 활동 감소, 흡연, 과도한 알코올 섭취, 특정 약물 사용 .
- 증상 및 진단: 초기에는 증상이 거의 없어 '조용한 질병'이라고도 불리며, 대부분 골절이 발생한 후에야 진단.
극복 방법:
- 예방과 관리: 칼슘(우유, 요구르트, 치즈, 뼈째 먹는 생선, 두부 등)과 비타민 D(햇빛 노출, 지방이 많은 생선, 강화 식품)가 풍부한 식품을 충분히 섭취.
- 걷기, 계단 오르기, 춤추기, 저항 운동 등 뼈에 적절한 부하를 주는 체중부하 운동
- 낙상 예방을 위한 균형 운동
- 의사와 상담하여 골밀도 검사를 정기적으로 받고, 비스포스포네이트, SERM, 부갑상선 호르몬 등의 약물 치료
2. 갱년기 증후군
- 갱년기 증후군은 여성이 폐경을 전후하여 경험하는 다양한 신체적, 정신적 증상
- 원인: 에스트로겐 호르몬의 급격한 감소
- 증상: 안면 홍조, 야간 발한, 불면증, 기분 변화, 우울감, 불안, 질 건조증, 요실금, 성욕 감소
- 지속시간: 개인마다 경험하는 정도와 지속 기간이 다양하며, 일부 여성들에게는 일상생활에 상당한 지장을 줄 수 있음.
극복 방법:
- 규칙적인 유산소 운동과 근력 운동을 통해 신체 건강을 유지
- 식이섬유, 과일, 채소가 풍부한 균형 잡힌 식사
- 카페인과 알코올, 매운 음식 등 안면홍조를 유발할 수 있는 음식 섭취 감소
- 스트레스 관리를 위해 명상, 요가, 심호흡 등의 이완 기법을 실천하고, 충분한 수면
- 증상이 심한 경우: 의사와 상담하여 호르몬 대체 요법(HRT), 저용량 항우울제, 약초요법(블랙 코호시, 세이지 등) 등의 다양한 치료법
- 심리 상담이나 지지 그룹 참여도 정서적 안정에 도움이 됨
3. 퇴행성 관절염
- 퇴행성 관절염은 관절 연골이 점차 마모되고 손상되면서 관절에 통증, 뻣뻣함, 부종이 생기는 만성 질환
- 주로 체중을 많이 받는 무릎, 고관절뿐만 아니라 손가락 관절, 척추 등에도 발생
- 원인: 노화가 주된 원인이지만, 과체중, 관절 부상 이력, 반복적이고 무리한 관절 사용, 유전적 요인 등도 발병 위험을 높임.
- 초기에는 가벼운 통증과 뻣뻣함을 느끼지만, 시간이 지남에 따라 증상이 악화되어 일상 활동에 제한을 받을 수 있습니다.
극복 방법:
- 퇴행성 관절염 관리를 위해서는 적절한 체중 유지가 매우 중요
- 수영, 자전거 타기, 수중 운동 등 관절에 부담을 주지 않는 저충격 운동을 규칙적으로 실천
- 통증 완화를 위해 온열 요법과 냉각 요법을 적절히 사용하고, 필요시 보조기나 지팡이 등 보조 기구를 활용하여 관절을 보호
- 약물 치료로는 진통제,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(NSAIDs), 관절 내 코르티코스테로이드 주사, 히알루론산 주사 등이 사용
- 글루코사민이나 콘드로이틴과 같은 보충제도 일부 환자에게 도움이 될 수 있음.
- 증상이 심하고 보존적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경우에는 관절경 수술, 절골술, 인공 관절 치환술 등의 수술적 치료를 고려할 수 있음.
Tags:
Health